last modified: 2025-08-03 11:45:01 Contributors
─ "저를 지키는 것은 이 무거운 칼날이 아니라, 칼날을 견뎌내는 마음뿐입니다."
|
【 이름 】 | 팽천 |
【 나이 】 | 20세 |
【 성별 】 | 男 |
【 세력 】 | 正派 |
【 경지 】 | 일류 |
【 간극 】 | 극 |
【 내공 】 | 15년 |
【 정신 】 | 2단계 |
【 명성 】 | 3단계 |
【 재산 】 | 은화 0 |
【 인물 호감도 】 | 3 |
【 정신타격&부상 】 | 0 |
【 도화전 】 | 0 |
1. 【 외모 】 ¶
ai그림입니다.
흑단처럼 윤기 나는 흑발에, 날카롭지만 늘 초승달처럼 휘어져있어 눈매를 지닌 사내. 창백한 낯빛에는 언제나 기묘하고 능글맞은 미소가 서려 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그의 생각을 종잡을 수 없게 만든다. 키는 여섯 척이 조금 넘는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평범한 인상의 사내였으나 그 외모에서 풍기는 묘한 분위기는 그가 어쩐지 위험한 인물처럼 보이게 하는 것에 일조하고 있다.
2. 【 성격 】 ¶
겉으로 보이는 그의 모습은 오해를 사기에 충분했다. 언제나 웃으며 다니는 탓에 세상만사를 비웃는 듯 냉소적이라며 오해받은 적도 부지기수. 체력의 문제로 효율을 추구하는 면을 보았던 이들은 그에게는 마음이 없어 우수한 무인이 될 수 없다며 비웃고는 했다. 허나 본성은 그와는 정반대였다. 그는 잔정이 많고, 아이들을 좋아하며 무엇보다도 협의를 우선으로 두고 있는 사내였으나 눈에 띄게 드러나지 않았다. 배를 곪는 거지들을 보면 냉정한 표정으로 지나쳤으나, 하인을 시켜 몰래 음식을 전해주고는 했고 동네의 아이들 중 원하는 아이들 몇을 데려가 몰래 글공부를 시키기도 했으니. 누구보다도 연약한, 무림에는 어울리지 않는 심성의 소유자임에 틀림없었다. 그러나 그가 가진 모든 성질은 하북 팽가라는 큰 산 앞에서는 한줌 모래와 같이 의미가 없으리라.
- 【 오대세가 】
"남궁세가. 제갈세가. 하북팽가. 모용세가. 사천당가. 이 다섯 세가들은 구파일방과 비견될만큼 뛰어난 명문들이다. 이들을 상대할 일이 있다면 웬만해선 그냥 보내주는 편이 이롭다."
─ 산랑채주 대우거
혈연으로 이루어진 가문들. 그 중에서도 무림세가들 중 다섯 세가들은 그 영향력과 무공이 남달라 따로 오대세가로 불리웁니다. 무림맹에서 하나의 거대한 파벌을 가지고 있는 이 다섯 무림 세가는 무림맹의 설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기도 하였으며 정마대전에서 활약한 영웅들이기도 합니다. 그들의 무공은 무림의 절기라고 칭해지며 이들의 절륜한 무공은 마교는 물론이고 사파들에게도 두려움을 심어주었습니다. 명문 정파라고 한다면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이들이며 당신의 가문이기도 한 오대세가. 당신은 이들의 일원으로서 강호무림에 나서게 될 것입니다.
- 오대세가 중 무작위로 선택된 세가의 일원으로 그 신분을 보장받습니다.
- 오대세가 중 하나의 무공이 기초무공을 대체합니다.
- 오대세가의 직계 또는 방계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명성이 3단계로 시작합니다.
가격 : 영혼석x5
- 【 불완전 단전 】
"정신과 성취에 비해서 단전의 크기가 작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항상 거슬릴 정도로 발목을 붙잡을 것이네."
"전 그럼 어떡하죠?"
"어쩌긴. 영약을 많이 찾아서 섭취하게나."
─ 의원과 무인의 대화
단전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다행히 큰 문제는 아니고, 남들보다 단전의 용적이 적은 편인 것 뿐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사실 상당히 귀찮아지지만 그래도 괜찮습니다.
- 내공의 총량이 5 감소한다.
가격 : 영혼석x1
4. 【 기타 】 ¶
- 영혼석 정리
오대세가 - 하북팽가: -5
시서화악: -1
불완전단: +1
팽가의 사람은 모두 호걸이라 부르기에 부족함이 없으니 그 괴력과 패기는 가히 무림에서 따라갈 자가 없음이라, 가문의 모든 인간들이 그것에 자부심을 지니고 있음은 당연한 것이지만 그런 탓에 거친 성정을 지닌 인간이 다른 정파의 문파나 세가의 사람들보다 많은 것 역시도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들 역시 오대세가의 일각으로서 중원 무림의 일각을 자처하는 만큼 그에 걸맞는 품위와 품격을 갖추고 있는 것은 당연한 바이나, 어쩔 수 없는 무림인이자 팽가의 인간들에게는 품위와 품격을 위해 공맹에 집중시키기 보다는 아이에게 무거운 도를 쥐게 하고 한사람의 무인으로서 기르는 것을 자랑스레 여기는 것이다.
천은 그런 집안의 분위기에 정면으로 맞서는 것만 같은 존재였다. 가문의 어린 아이들이 누가 가장 강한지를 논할 때, 그는 작은 풀벌레의 날갯짓에도 경외감을 느꼈고, 작은 꽃 한 송이에도 마음을 빼앗기는 아이였다. 폭력과 무력에 대한 거부감은 천이 가진 재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만드는 족쇄였으나 오히려 차갑고 무거운 칼이 아닌 부드럽고 가벼운 붓을 잡았을 때 그는 진정으로 해방되는 기분을 느꼈다.
이러한 성품은 팽가에서 치명적인 결함으로 여겨졌다. 가문의 후대를 이어야 할 장남이 수련이 아닌 시서화악에 빠져 그림을 그리고 시를 읊는 모습은 좋게 보일 리 없었다. 그는 가문의 분위기 속에서 늘 소외되어있었고 그런 팽가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압적이고 냉정한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었으니 평생을 가문의 기대와 자신의 연약한 성품 사이에서 괴리감을 느끼는 채로 그 누구에게도 본심을 드러내지 못 한 채로 고독 속에서 살아왔던 것이다.
허나 그 역시 마냥 순한 양은 아니다. 강인한 부모님, 장원을 울리는 무인들의 함성소리에 취하지 않았던 적은 없었다. 그 감정의 근원이 단순한 책임감일지, 아니면 그의 안에도 한 마리의 사나운 호랑이가 숨어있는 것인지 그것을 알 길은 없을지도 모른다.
5. 【 무공 】 ¶
- 【 정군패왕신공 征軍覇王神功】
성취 : 3성
분구필합, 합구필분. 수많은 나라가 중원의 역사 속에서 뜨고 져왔습니다. 그 때마다 언제나 항상 하북은 강력한 나라들의 중심지 중 하나였습니다.
하북팽가는 말 그대로 중원의 심장부에 위치하며 무수한 세력들의 도전들을 받아왔습니다. 크게는 나라부터 작게는 무림세가들의 도전까지. 그 모든 도전의 끝에서 하북팽가는 살아남았고, 여전히 권세와 부귀영화를 누리고 있습니다.
정군패왕신공은 하북팽가가 수많은 도전을 물리치고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입니다.
북방 민족들과의 수많은 교류로 강력하고 패도적인 기운을 내뿜으며, 능히 한 명이 군대를 상대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이 신공은 그 긴 역사동안 하북팽가의 자랑이자 자부심이었습니다.
- 1성 신공 : 최소한 소주천까지는 완료해야 익힐 수 있습니다.
- 2성 패공 : 내공이 력力의 기운을 띄기 시작합니다.
- 3성 도기상인 : 패도적인 기운을 담은 붉은빛의 기운을 도에 씌울 수 있습니다.
- 【 철혈적성도 】
성취 : 3성
하북팽가하면 도(刀), 도(刀)하면 하북팽가!
하북팽가가 중원 제일이라고 일컬어지는 도의 명가로 불리우게 된데에는 오호단문도라 불리우는 다섯 가지 도법이 있습니다.
건곤연환탈백도, 혼원벽력도, 철혈적성도, 왕자사도, 패왕도로 불리우는 중원 최고의 도법들이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그 중 철혈적성도는 대표적인 패검이자 중검으로 힘을 매우 중시하는 도법입니다. 초식 하나하나가 호쾌하며 장중함을 품고 있으며 중원제일의 중검(重劍)이라 불리우기도 합니다.
오호단문도를 익히기 위해서 무조건 대성해야하는 다섯 도법 중 하나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중원 최고의 도법 중 하나라 일컬어지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 0성 천하제일준, 도법 : 오직 하나의 정점이라 하기엔 어렵지만, 그 정점에 가장 가깝습니다. '천하제일준, 도법'이 아닌 모든 '도법' 무공을 상대할 때 우위를 점합니다. 단, 경지를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
- 1성 중검 : 도의 무게가 늘어납니다.
- 2성 철혈 : 도에 피가 묻으면 묻을수록 도가 무거워집니다. 전투가 끝나면 원상복귀됩니다.
- 3성 도추(刀椎) : 내공을 10 소모합니다. 도를 쇠몽둥이처럼 휘두릅니다. 방어구를 무시하고 타격을 줍니다.
- 【 하북팽가 河北彭家 】
하북성에 위치해있는 하북팽가는 도문으로 유명합니다. 오호단문도라 불리우는 강호무림 최고의 도법으로 유명하며 현 가주인 팽욱헌은 젊은 나이에 초절정의 경지에 오른 고수입니다. 슬하에는 딸과 아들이 하나 있으며 딸은 절정 극, 아들은 일류 극에 도달한 기재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북팽가는 오대세가의 일원으로서 무림맹의 한 축을 담당하지만 위치와 실력에 비해 그 대접이 못하다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기도 합니다.
주요인물로는 천하제일도 팽욱헌이 있으며 그 자식들인 팽천희, 팽천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