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R,AIRSS

암묵의 룰

last modified: 2015-04-27 02:57:00 Contributors

따로 명시되거나 알려지진 않았지만, 구성원들 사이에선 룰로서 인정받고 지켜지는 룰들을 칭한다.

스레딕

스레딕에선 다른 사이트와 비교해도 특별할 정도로 암묵의 룰이 많은 편이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개중에는 전체적으로 통용되는 것도 있고, 특정 게시판에서만 적용되는 것도 있다.[1]

  • 닉네임, 이메일을 쓰면 안 된다(칸을 비운다)
  • 반말을 써야 한다.
    • 존댓말을 써도 되지만 되도록 삼간다.[2]
  • 친목질을 해서는 안 된다.
    • 여기에 닉네임, 이메일x를 포함하고 인증 금지를 곁들이기도 한다.
  • 자신을 인증할 수 있는 것을 적어서는 안 된다.
  • 스레주가 낚시 선언하기 전까지는 믿어줘야한다.
  • 까는 스레드에서는 쉴드를 쳐서는 안 된다.

이러한 암묵의 룰은 보통 초창기에 만들어졌거나 게시판에서 놀면서 특정 사건 등이 반복되자 유저들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정하고 이후에 지켜지게 된다.

문제점

벙어리 속은 그 어미도 모른다
위의 룰들은 말 그대로 '암묵의 룰'이기 때문에, 유입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 룰을 알기 위해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 문제는 이 룰들은 어떠한 권위도 없으며, 지키지 않아도 불이익을 받을 순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본 룰을 지키지 않아서 스레딕을 떠나거나, 스레드를 내리거나 하는 일이 빈번했는데, 친목질 항목에 나와 있다시피 스레딕의 이용 규정은 오로지 이용약관에 기재된 것 뿐이다. 즉 위 룰을 지키든 말든 어떠한 제재를 가할 권리도 유저에게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스레딕의 특성상 이러한 점이 인정되고, 받아들여지고 있을 뿐이다.

또한 암묵의 룰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서 룰이 추가되거나 수정되거나 사라져도 알기가 힘들며, 룰 하나도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받아들이기도 한다. 기본 룰이 'A를 하면 안 된다'라면 B는 A만 안 하면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C는 A에 준하는 것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 [1] 후자의 경우 딱히 규정되는 것이 아닌, 해당 게시판에 그 룰이 적용되는 사례가 대부분이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 [2] 특이하게도 TRPG 게시판은 이 룰에서 벗어나도 딱히 지적이 없었다.